

















BROWN SPECTRUM #01 정미선 <기억의 순환>
BROWN SPECTRUM #01 정미선 <기억의 순환>
2025년 4월 23일 - 6월 29일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5길 15, B1 BROWN SPECTRUM #01 <기억의 순환>은 정미선 작가가 오랜 시간 흙과 함께 나눈 사유의 흐름을 담아낸 전시입니다. 공간은 기물이 각도에 따라 다채롭게 보이도록 벽면 플랫폼과 중앙 플랫폼의 높이를 다르게 설계했으며, 시작점에서 점점 높아지는 단상 구조를 통해 작품이 서로 겹치지 않고 한 선상에서 모두 잘 보이도록 구성했습니다. 이는 주제인 ‘순환’의 의미를 공간적으로 강조하는 장치이기도 합니다. 모든 플랫폼의 상단은 UMBER의 오가닉 코튼으로 제작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 속에 녹여냈습니다.
BROWN SPECTRUM #01 Misun Jeong
April 23, 2025 – June 29, 2025
B1, 15, Bukchon-ro 5-gil, Jongno-gu, Seoul
BROWN SPECTRUM #01
"먼 길을 돌아 ‘나의 길’이 또렷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단번에 ‘나의 길’이 무엇인지 본능적으로 알아차리는 이들도 있다. 제주시 주르레길에서 담화헌을 지키는 정미선 작가는 후자인 듯하다.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정미선 작가와 그의 동반자 강승철 작가는 제주 태생 도예 전문가로서 소명을 따르고 있다. 제주 흙으로 옹기를 만들 결심을 한 것이다.
1948년 4.3사건을 거쳐 1960년대 산업화에 이르면서 빠르게 사라진 제주의 풍경과 일상에는 제주옹기 문화도 포함된다. 옛 방식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영감은 받되, 옛것을 그대로 ‘복원’하기보다는 제주만의 문화를 오랫동안 ‘보존’하겠다는 정미선 작가의 목표에는 과거와 미래가 공존한다. 20여 년 전,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택하기 두렵지 않았냐는 질문에 그녀는 도전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없었다고 답했다. 이런 확신의 지지 기반은 창작의 기쁨, 그것을 나눌 수 있는 가족인 듯하다. 담화헌은 정미선·강승철 작가의 자녀와 부모까지 3대가 뿌리내린 공간이다. “가족이란 건 영원한 거 아니에요? 선택하진 않았지만 나에게 주어진 자연, 우연의 구성원이잖아요. 가족은 영원한 것 같아요. 영원해야만 하고”라고 말하는 정미선 작가에게 왜라는 질문은 필요하지 않다".
"While some have to travel a long way to discover their calling, others find it rather intuitively. Jeong Misun, founder and keeper of Damhwahun located in Jureure-gil on Jeju Island, seems to be of the intuitive kind. For over twenty years, Jeong and her partner Kang Seung Chul have been following their calling as a Jeju-based and born potters. In 2002, they decided to devote their lives and career to making Onggi, a type of local stoneware crafted from Jeju clay, that involves working with a material and technique that are sparsely documented.
Jeju's Onggi culture was part of the landscape and daily life of the island that quickly disappeared after the Jeju massacre on April 3rd 1948 and the sweeping industrialization of the 1960s. Drawing inspiration from those who remember the old ways, Jeong's goal is to ‘preserve’, rather than ‘restore’, Jeju’s unique culture in the long term, an ideal where past and future coexist. When asked if she was scared to take the road less traveled 20 years ago, she said she couldn’t think of anything other than having to challenge herself. The pure joy of creation and a family to share that joy are what keep her going. Damhwahun is a space where not only Jeong and Kang, but also their children and parents, a total of three generations, have taken root. 'Family is for life, no? It’s something that is given, not chosen, by nature and chance. It’s for life from the moment it begins. And it must be.' There’s no need to ask why".

BROWN SPECTRUM #01 정미선 <기억의 순환>
2025년 4월 23일 - 6월 29일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5길 15, B1 BROWN SPECTRUM #01 <기억의 순환>은 정미선 작가가 오랜 시간 흙과 함께 나눈 사유의 흐름을 담아낸 전시입니다. 공간은 기물이 각도에 따라 다채롭게 보이도록 벽면 플랫폼과 중앙 플랫폼의 높이를 다르게 설계했으며, 시작점에서 점점 높아지는 단상 구조를 통해 작품이 서로 겹치지 않고 한 선상에서 모두 잘 보이도록 구성했습니다. 이는 주제인 ‘순환’의 의미를 공간적으로 강조하는 장치이기도 합니다. 모든 플랫폼의 상단은 UMBER의 오가닉 코튼으로 제작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 속에 녹여냈습니다.
BROWN SPECTRUM #01 Misun Jeong
April 23, 2025 – June 29, 2025
B1, 15, Bukchon-ro 5-gil, Jongno-gu, Seoul
BROWN SPECTRUM #01



"먼 길을 돌아 ‘나의 길’이 또렷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단번에 ‘나의 길’이 무엇인지 본능적으로 알아차리는 이들도 있다. 제주시 주르레길에서 담화헌을 지키는 정미선 작가는 후자인 듯하다.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정미선 작가와 그의 동반자 강승철 작가는 제주 태생 도예 전문가로서 소명을 따르고 있다. 제주 흙으로 옹기를 만들 결심을 한 것이다.
1948년 4.3사건을 거쳐 1960년대 산업화에 이르면서 빠르게 사라진 제주의 풍경과 일상에는 제주옹기 문화도 포함된다. 옛 방식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영감은 받되, 옛것을 그대로 ‘복원’하기보다는 제주만의 문화를 오랫동안 ‘보존’하겠다는 정미선 작가의 목표에는 과거와 미래가 공존한다. 20여 년 전,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택하기 두렵지 않았냐는 질문에 그녀는 도전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없었다고 답했다. 이런 확신의 지지 기반은 창작의 기쁨, 그것을 나눌 수 있는 가족인 듯하다. 담화헌은 정미선·강승철 작가의 자녀와 부모까지 3대가 뿌리내린 공간이다. “가족이란 건 영원한 거 아니에요? 선택하진 않았지만 나에게 주어진 자연, 우연의 구성원이잖아요. 가족은 영원한 것 같아요. 영원해야만 하고”라고 말하는 정미선 작가에게 왜라는 질문은 필요하지 않다".
"While some have to travel a long way to discover their calling, others find it rather intuitively. Jeong Misun, founder and keeper of Damhwahun located in Jureure-gil on Jeju Island, seems to be of the intuitive kind. For over twenty years, Jeong and her partner Kang Seung Chul have been following their calling as a Jeju-based and born potters. In 2002, they decided to devote their lives and career to making Onggi, a type of local stoneware crafted from Jeju clay, that involves working with a material and technique that are sparsely documented.
Jeju's Onggi culture was part of the landscape and daily life of the island that quickly disappeared after the Jeju massacre on April 3rd 1948 and the sweeping industrialization of the 1960s. Drawing inspiration from those who remember the old ways, Jeong's goal is to ‘preserve’, rather than ‘restore’, Jeju’s unique culture in the long term, an ideal where past and future coexist. When asked if she was scared to take the road less traveled 20 years ago, she said she couldn’t think of anything other than having to challenge herself. The pure joy of creation and a family to share that joy are what keep her going. Damhwahun is a space where not only Jeong and Kang, but also their children and parents, a total of three generations, have taken root. 'Family is for life, no? It’s something that is given, not chosen, by nature and chance. It’s for life from the moment it begins. And it must be.' There’s no need to ask why".













